안녕하세요 정보라~입니다.
오늘은 노령견 전용 케어 및 치료식 펫푸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 보청기 무료로 한 달 동안 쓸 수 있는 히어닷컴 알아보기
✔️ 알아두면 좋은 정부서비스(부정·불량식품 신고 서비스)
노령견 케어 및 치료식 펫푸드
현대 의학의 발전과 품질 좋은 사료, 전용 영양제 등 반려견의 건강을 위한 제품이 증가하면서 반려견의 평균 수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노령견을 키우는 가구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반려견 275만 마리 중 1146,241마리가 9세 이상 노령견으로, 전체 가구 중 41.4%가 노령견을 키우고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개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면 신체 기능도 활동량 감소, 각종 질병 발생 등 다양한 변화에 직면한다는 점입니다. KB경영연구소 2021 한국반려동물보고서에 따르면 고령견 눈(32.8%), 피부(29.8%), 구강(29.8%), 소화기(22.9%), 비뇨기(10.7%) 순으로 질병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노령견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요? 2024년 3월 23일 반려동물 헬스케어 전문기업 에이*이포펫은 '국제 강아지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노령견을 위한 케어 방법을 소개했다고 합니다. 노화 증상을 완전히 막을 순 없지만 질환을 예방하고 노화를 늦출 수 있는 일상 속 케어 방법이었다고 합니다.
우선, 양치를 꾸준히 시켜주고 정기적인 스테일링을 통해 치주 질환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노령견들의 관절 보호를 위해서 집에서 미끄럼방지 매트를 사용하고 평소 꾸준한 산책과 운동을 시켜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소화 기능이 떨어지는 노련견을 위해 소화가 쉬운 음식이나 부드러운 사료를 제공하는 등 식단 관리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또한 집에서도 주기적으로 반려견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반려견 전용 건강관리 제품, 서비스, 영양제 등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에이*이포펫의 반려동물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건강 체크와 연동되는 수의사 비대면 지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또, 반려견 스마츠 헬스케어 기기 전문기업 *하티는 목줄 형태의 반려견 스마트위치 헬스케어 디바이스라고 합니다. 전자청진기를 통해 반려견의 심장 소리를 분석하고 피부 온도 모니터링, 칼로리소모 분석을 통한 월별 건강보고서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일본에서는 반려동물이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되고 고령화되면서 펫푸드 시장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령견 전용 치료식으로 출시된 펫푸드 제품들이 많아지는 추세라고 합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최근 일본에서 반려동물의 정기적인 건강진단 비용뿐 아니라 건강과 관련된 치료식 제품의 수요도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의 대표 펫보험사 '아*콤(anicom) 손해보험'의 설문조사 결과, 지난 2022년 기준으로 반려동물(개와 고양이)을 위한 지출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은 '의료비'였습니다. 여기에 예방의료의 일환인 영양제와 백신·건강진단 비용까지 포함하면 총 지출액에서 반려견은 31.5%, 반려묘는 29.7%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펫푸드 못지않게 높은 비중입니다. '펫푸드·간식' 비용으로 반려견 18.5%, 반려묘는 30.5%에 달했다고 합니다.
특히 반려동물의 가족화,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치료식도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반려동물이 자주 걸리는 특정 질환에 맞춰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대부분 수의사의 조언 하에 치료식이 제공되고 있다고 합니다.
반료묘용 치료식은 최근 각 제조업체가 적극적으로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반려견용 치료식도 고단가 제품 위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시장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펫푸드 업체 버*푸드(Buddy Food)는 수의사 감수를 바탕으로 노령견 전용의 신신 펫푸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로*캐닌(Royal Canin)은 소화기, 피부질환 등 특정질환의 치료 및 관리를 목적으로 치료식 제품을 내놓아 관심을 끌고 있다고 합니다.
한편, 일본에서는 15세 미만의 어린이보다 반려견 및 반려묘의 수가 더 많다고 합니다.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2022년 4월 기준으로 15세 미만 어린이 수는 약 1465만 명입니다. 반면 일본 펫푸드협회 조사 결과, 2022년 반려견과 반려묘 수는 총 1589만 마리에 달한다고 합니다.
반려견 피해야할 음식과 좋은 음식
안녕하세요 정보라입니다. 오늘은 반려견 피해야 할 음식과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 소변 양·색·냄새로 하는 건강체크법 ✔️ 대상포진에 좋은 음식 VS 피해야 할 음
inforbora.tistory.com
자료 = 리얼푸드, 조대성 aT 도쿄 지사
그럼 여기까지 노령견 전용 케어 및 치료식 펫푸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 반려동물 & 반려동물 차량 방치 & 반려동물 도로교통법 & 펫 모드 (13) | 2024.10.13 |
---|---|
동물병원 진료비 비교 가능한 시스템이란? (4) | 2024.09.29 |
반려동물 입양 전 알아봐야 할 것 (4) | 2024.09.18 |
동물생산업 부모견 등록제란? (0) | 2024.08.11 |
반려견 피해야할 음식과 좋은 음식 (1) | 2023.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