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정보

브레이크 밀리는 이유

by kneekick-kneekick 2023. 6.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보라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브레이크가 밀리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자동차 엔진 경고등 대처법

자동차 와이퍼 교체 주기와 방법

빗길 운전 잘하는 방법 3가지

토요타 하이랜더 하이브리드 6월 사전계약

'여드름 약' 태아 기형 유발?!

블랙박스 구입 시 꼭 알아야 할 사항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 왜 26℃일까? 장마철 슬기로운 실내환경은?

발바닥·손발톱에 생기는 악성흑색종, 유독 한국인에게 많은 이유?

아침잠이 부쩍 줄어들었다면.. 노인수면장애?(노인수면장애 원인과 특징 5가지)

아프면 쉴 수 있는 상병수당 시범사업 시작! 신청하고 최저임금 60% 받아가세요~

자동차 냉각수 점검법

브레이크가 밀리는 이유

자료 = 마이클 앱

브레이크를 밟았는데 생각만큼 빨리 서지 않고 조금 더 앞으로 나간 후 서는 경험을 한 적 있나요? 내가 예상하는 제동거리와 실제 제동거리가 다르다면 돌발상황에 접촉사고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위험한 브레이크 밀림 현상, 대체 왜 생기는 것일까요? 브레이크가 밀리는 이유 3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브레이크 오일이 오염되어서

자료 = 마이클 앱

브레이크 오일(브레이크액)은 브레이크 작동 시, 브레이크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브레이크 오일 또한 엔진오일이나 타이어처럼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는 소모품에 해당합니다.

 

<브레이크 오일 교체주기>

자료 = 마이클 앱

브레이크 오일의 교체시기는 일반적으로 3만 km에서 4만 km 또는 2년입니다.  또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 함량이 높아집니다. 이렇게 브레이크 오일 내 수분함량이 높아지면 제동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오일이 지나다니는 유로에 수증기 기포가 만들어져 페달을 밟아도 쑥쑥 꺼지는 스펀지 현상이 발생해 제동이 되지 않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료 = 마이클 앱

만약 브레이크 경고등이 계기판에 점등되었다면, 엔진룸을 열어 리져버 탱크를 MAX, MIN 표시를 확인해야 합니다.

자료 = 마이클 앱

브레이크액이 MIN 아래로 떨어졌다면 브레이크 패드 마모가 심하거나, 누유가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반드시 정비소에서 전문가의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 오일 종류 4가지

 

자동차 오일 종류 4가지

안녕하세요 정보라입니다. 오늘은 중요한데 잘 모르는 자동차 오일 종류 4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자동차 와이퍼 교체 주기와 방법 빗길 운전 잘하는 방법 3가지 토요타 하이랜

inforbora.tistory.com

 

2.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어서

자료 = 마이클 앱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를 밟을 때마다 지속적으로 디스크와 마찰이 생기기 때문에 조금씩 마모가 됩니다. 브레이크 패드는 보통 1만 km마다 점검해주어야 하며, 점검 후 상태에 따라 교체가 필요합니다.

자료 = 마이클 앱

 

꼭 교체 시가 정확히 도래하지 않았더라도, 브레이크 패드 상태가 궁금하다면 정비소에서 엔진오일을 교환하거나,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할 때 정비사에게 브레이크 패드 확인을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 = 마이클 앱

정비소에 갈 일이 없어 내 눈으로 직접 브레이크 패드의 상태를 확인하고 싶다면 휠을 안으로 끝까지 돌린 후 휠 안으로 휴대폰을 넣어 브레이크 패드를 촬영하면 어렵지 않게 패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 = 마이클 앱

촬영된 사진을 보고 브레이크의 마찰재가 플레이트와 비슷하거나 더 작게 남았다면 패드를 교체해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찰재가 3mm 이하로 남았을 때 교체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3. 타이어가 닳아서

자료 = 마이클 앱

브레이크에 이상이 없는 것 같은데 브레이크가 밀린다면 타이어를 체크해봐야 합니다. 타이어가 마모되면 마찰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됩니다. 모든 타이어에는 홈이 파여있는데 이를 '마모 한계선'이라고 부릅니다.

자료 = 마이클 앱

마모한계선까지 타이어가 마모되면 타이어가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며 제동거리도 30%가량 증가합니다. 또한 비나 눈이 올 때에는 타이어의 배수 성능이 떨어져 타이어가 지면과 붙지 않고 수막 위로 떠오르는 수막현상이 발생하여 더욱더 쉽게 미끄러져 자칫하다간 큰 사고가 날 수도 있습니다.

자료 = 마이클 앱

마모한계선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감이 잘 오지 않는 분들은 지갑에 있는 100원 동전을 활용하면 됩니다. 타이어 홈에 100원짜리 동전을 끼운 후 이순신 장군의 감투가 반 이상 보인다면 타이어를 교체해야 할 시기입니다. 타이어의 교체시기는 보통 4~5만 km 또는 2~3년마다 교체를 권하고 있지만 차량마다 도로상태, 운전습관, 기후 등 처해진 환경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수명의 편차도 제 각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이어 마모한계선을 통해 정확히 타이어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료 = 마이클 앱

 

 

 

 

 

 

 

그럼 여기까지 자동차 브레이크가 밀리는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